Develop/TIL

그 날 그 날의 새로운 삽질, 그 날 그 날 새로운 지식
· Develop/TIL
디바운스(Debounce)와 쓰로틀링(Throttling)은 자바스크립트에서 이벤트 핸들링과 함수 실행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두 가지 기술입니다.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다들 개념을 알고 있을 것이지만 비전공자 입장에서는 이조차 낮선 개념입니다. 오늘은 쓰로틀링과 디바운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디바운스이라는 용어는 전자 회로에서 스위치를 눌렀다 떼는 과정에서 스위치가 통통 튀며 전압이 불규칙적으로 들어가 전류의 흐름이 비정상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을 바운싱 현상이라하는데 이를 정상적으로 해주는 의미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고합니다.쓰로틀링이라는 용어는 비행기 또는 자동차 등에서 연료량을 조절하는 레버가 있는데 이를 당기거나 밀어서 연료량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동작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시키기 때문에 ..
· Develop/TIL
게임을 하다가 발견한 문제가 마침 CS 지식을 요구하는군요. Bitburner라는 게임인데 광기에 물든 개발자들이 즐기는 게임인 것 같습니다. 게임을 처음 시작하면 Sector-12라는 곳에서 게임을 시작하게 됩니다. 이곳 저곳 서버를 돌아다니면, contract 파일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 파일을 열어보면 다양한 문제가 등장합니다. 처음 발견한 문제가 아래의 해밍 코드를 활용한 문제입니다. 총 10번의 기회가 있다는군요. 해밍 코드를 이용해서 오류를 고치고 십진수 값을 구해달라고하네요. Hamming Codes: Encoded Binary to Integer You are attempting to solve a Coding Contract. You have 10 tries remaining, after..
· Develop/TIL
어느날 문득 저의 커밋 메세지를 살펴보던 중 메세지만 봐서는 정확히 어떤 작업을 했는지 바로 떠오르지 않는 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보다 간결하고 명확한 내용으로 작성할 수 없는지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Git에 commit을 할때 어떤 내용으로 커밋 메세지를 작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앞으로 협업할 일이 많아지게 될텐데 좋은 커밋 메세지 습관을 들여둔다면 더욱 좋을 것 같습니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좋은 커밋 메세지 7가지의 규칙이 있습니다. 제목과 분문을 한 줄 띄워 분리하기 제목은 영문 기준 50자 이내로 제목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제목 끝에 마침표(.) 금지 제목은 명령하듯이 작성 본문은 영문 기준 72자마다 줄 바꾸기 본문은 어떻게보다 무엇을, 왜에 맞춰 작성하기 Github - 제목이..
· Develop/TIL
항해99의 커리큘럼도 이제 종막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처음 항해를 시작할 때의 나를 돌아보면 VS Code를 처음 사용하며 신기해하고 HTML 태그만을 이용해서 정적인 페이지를 만들고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간단하게 움직이는 페이지를 만들고 기뻐하던 순간들이 떠오른다. 아직은 갈길이 멀게 느껴지지만 확실하게 두달 전의 나와는 다른 사람이 되었음을 느낀다. 어느정도 자신감도 생기고 시간만 충분하다면 뭐든지 할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다. 함께 수강중인 동료들과 많은 선배들과 멘토분들이 도와주신 덕분이다. 독학했다면 겪어보지 못할 협업 과정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우고 있다. 프론트 엔드 개발자라고 내 주특기인 리액트만 공부해서는 소통을 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닳는다. 최소한 API를 호출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CodeFiore
'Develop/TIL'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Mastodon